본문 바로가기

Reading Books47

파씨의 입문_황정은 소설집|지독한 외로움과 죽음 그리고 지옥 같은 삶에서 나는 어떤 걸 느꼈을까. 파씨의 입문은 내가 독서모임을 하고 있는 독립서점에서 우연히 발견한 책이다.아니 우연히 찾은 책이라 할 수 없겠다.파씨의 입문은 눈에 잘 보이지 않은 무릎 아래쪽에 있는 책이었다. 사실 제목만 봐서는 언뜻 내용이 유추되지 않아 평소라면 그냥 쓱 지나쳤을 텐데 이 날은 왠지 이 책 저 책 꺼내서 한 페이지라도 읽어보고 싶었다. 파씨의 입문에 이렇게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등장인물을 한 씨, 고씨, 묘씨(심지어 묘씨는 고양이다), 디디, 도도로 명명해 독특했다.1인칭 시점으로 상황 묘사가 자세해 몰입감이 굉장하다.죽음에 대한 주제를 깔고 있어 단편인데도 2편 이상 한 번에 못 읽을 만큼 무겁다. 한번 읽은 것으로 책의 내용과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말을 다 이해하기 어렵지만 .. Reading Books/소설 2024. 11. 16.
요즘 소비 트렌드 2025_노준영 지음|트렌드의 본질과 MZ세대와 알파세대를 알 수 있었다. 트렌드 코리아 2025부터 해서 매년 다음 해 트렌드나 전망에 대한 책들이 쏟아져 나온다.작년까지는 별 관심이 없다가 올해 창업 준비를 하면서 트렌드에 대해 알면 좋을 것 같아 트렌드 관련된 책을 찾아보게 되었다.사람들이 제일 많이 읽는 트렌드 코리아를 읽을까? 하다가 좀 더 창업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 같은 요즘 소비 트렌드 2025로 선택했다. 요즘 소비 트렌드는 결론적으로 젊은 꼰대로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나보다 어린 MZ세대나 알파세대에 대해 이해 할수 있게 된 데에 의미가 컸다. ♤독서 후기'요즘 소비 트렌드' 책 서두에는 트렌드에 대한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트렌드란 사람들이 지금 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만들어가고 변화되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트렌드, 유행하면 떠오르는 이.. Reading Books/사업·트렌드 2024. 11. 5.
성공하는 카페 창업 낭만부터 버려라_전창현 지음(2023)|프랜차이즈 카페 창업에 대해 A부터 Z까지 알게 해준 책 올해 카페 창업을 하면 그 해 폐업하는 카페 수가 창업한 카페 수에 50% 라는 통계를 본 적이 있다. 그만큼 쉽게 창업을 하고 쉽게 망하는 것이 카페라는 것이다.그리고 이 '쉬운'에 한몫을 하는 것이 카페에 대한 로망이지 않을까 싶다. 나도 카페 창업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내 취향대로 인테리어 한 공간에서 좋아하는 커피와 빵, 디저트를 먹으면서 한가한 시간에는 책도 읽고 취미인 독서모임도 열어보는 것. 이 얼마나 낭만적인가.하지만 지난 5년 간 음식점 업을 해보면서 창업은 절대 로망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자영업을 한다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이 1순위여야 한다. '성공하는 카페 창업 낭만부터 버려라'라는 책은 이런 내 생각에서 제목부터 공감이 되었고, 여전히 카페 창업에 관심이.. Reading Books/사업·트렌드 2024. 11. 5.
능동적 아웃풋_ 촉촉한 마케터 지음|망상에서 나와 현실을 직시하게 되다. 능동적 아웃풋이란 책 제목의 첫인상은 효율적으로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가만의 비법서? 같은 느낌이었다.왜냐하면 능동적이라는 단어가 '애써 힘들이지 않고'라는 느낌으로 내게 다가왔고, 아웃풋은 말 그대로 어떤 결과물을 생산해 낸다는 뜻이니 촉촉한 마케터님 만의 글쓰기 노하우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드는 것이었다.음, 어쩌면 아웃풋을 내지 못해 끙끙거리는 내 바람이 투영된 콩깍지일지도.  책이 술술 읽히지는 않았다. 작가님이 어떤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해 여러 예시를 들어 설명했는데 어떤 것은 이해가 잘 되고, 어떤 것은 더 모호해졌다. 가령 '기대와 현실의 거리감'을 이해시키기 위해 '인기작가 A와 작가지망생 B의 예시'를 든 것은 이해가 잘 됐지만, '나를 노리는 이들의 행동 패턴을.. Reading Books/사업·트렌드 2024. 10. 10.
잘 살고 싶어서 그래_ 젬이|매일이 좋으려는 욕심만 버려도 훨씬 마음이 편할텐데. ♥ 잘 살고 싶어서 그래 '뭐 해 먹고살지?'불안정한 삶 위에 피어나는 질문. 답을 찾기 위해 서로 고민을 나누고 그 속에서 확신을 얻고 싶어 하지만, 뚜렷한 답을 얻지 못한 채 불안이 몸집을 키운다.사실 본심은 하나다. 잘 살고 싶다는 것.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삼아 성실하고 즐겁게 살고 싶다는 바람. 물론 쉽지 않음을 안다. 먼발치에서 재밌어 보이는 것들은 가까이 가면 부담과 책임이 앞을 막아섰고 아직 좋아하는 일도 잘하는 일도 찾지 못했기에. 그러나 이대로 움츠러들 수는 없다. 해 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것들이 있다. 그렇기에 잘 살고 싶다면, 더더욱 많이 경험해 봐야 하지 않을까. 그게 무엇이든. '잘 살고 싶어서 그래'라는 책 제목에 시선이 갔고 어떤 책이지? 하고 뒷 면에 .. Reading Books/에세이 2024. 10. 6.
퍼스널 브랜딩_촉촉한 마케터 지음|내 머리 속에서 무언가 탁, 탁 연결이 되었다. (쉽게 삘 받았다 하죠.) 퍼스널 브랜딩이란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이렇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쓰는 온라인 모임에서 '저희 독서 모임 한번 해보면 어떨까요?' '책은 퍼스널 브랜딩으로 합시다'가 발단이었다.블로그 글쓰기를 제대로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나로서 퍼스널 브랜딩이 뭔지도 몰랐다.대충 느낌적으로 '창작을 하는 사람들이 가야 할 마케팅의 최고 점?' 정도로만 알고 있었던 것 같다.그래서 책도 아주 가볍게 읽었다. 이 책이 내 직업 고민의 방향성을 결정해 줄지 꿈에도 모르고. 퍼스널 브랜딩 책을 쓴 촉촉한 마케터님은 글을 쓰시는 분이다. 글 쓰는 일로 어떤 일을 하시는지는 내가 검색해 알아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는 모르지만, 자기만의 글을 쓰는 것에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른 분이라는 것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얘기를 꺼내.. Reading Books/사업·트렌드 2024. 10. 5.
보통의 언어들_김이나 지음|나의 언어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싱어게인'이라는 무명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에 김이나 작가님이 심사위원으로 출연해 각 출연자마다 심사평을 애기한 것을 본 적이 있다.처음에는 '작가님이라서 그런가 말씀을 참 잘하시네'라는 정도의 생각만 하다, 어느새 출연자의 노래보다 김이나 작가님의 심사평이 더 기다려졌다. 이때의 나는 '말을 어쩜 저렇게 이쁘게 할까' '어떻게 저런 표현이 나올 수 있지'라는 무한 감탄과 '나도 내 마음을 저렇게 잘 표현하면 좋겠다' '내 마음을 좀 더 잘 표현하면 날 오해하지 않지 않을까'라는 부러운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김이나 작가님의 책을 찾아보게 됐고, '보통의 언어들'이란 책을 발견했다. '보통의 언어들'이라.. 왠지 책 제목만 보면 작가님 만의 말 표현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아 막연한 기대감과 약간 들뜬 마.. Reading Books/에세이 2024. 9. 28.